아토피 극복기

아토피도 먹을 수 있는 홈베이킹을 시작하고 일어난 일 (1편)

gunpang 2021. 12. 7. 11:01
728x90
반응형

작년 겨울 베이킹이라는 취미를 시작한 이후로 우리 집 광파오븐은 나를 위해 온갖 종류의 빵들을 구워주느라 참 바빴다.

 

최고 온도 200도까지 밖에 올라가지 않는, 사실은 전자레인지라고 불러야 더 가까운 광파오븐이지만 그래도 홈베이커로서의 입문을 하는 데는 큰 도움이 되어준 기특한 우리 집 주방 멤버다. 

 

처음으로 만든 디저트는 대부분의 입문자들이 그렇듯 '노오븐 베이킹'으로 시작했는데 바로 티라미수였다. 마트에서 파는 레이디 핑거라는 과자를 사서 캡슐커피로 내린 에스프레소에 잔뜩 적신 후, 계란과 마스카포네 치즈, 그리고 설탕을 잘 섞어 레이어링을 해준 뒤 냉장고에 하룻밤 굳히면 Ready To Eat! 

 

너무나도 간단하지만 맛은 그 어느 이탈리안 레스토랑보다, 심지어 유럽에서 먹었던 것보다 맛있어서 하루 만에 커다란 락앤락 한 통을 눈 깜짝할 사이에 비운 - 그리고 동시에 몸무게도 눈을 깜빡 감아버리고 싶게 만든 - 나름 성공적인 첫 홈 디저트라는 긍정적인 기억으로 남아있다. 

 

 
사진 출처 : 핀터레스트
 

그러다가 아토피가 심해지면서 극단적인 식단 조절에 들어가게 되었고 (밀가루, 육류, 유제품, 커피는 물론 마트나 바깥에서 파는 모든 가공식품을 1년 넘게 끊고 나는 자연인이다 수준의 식단을 유지해야 했다) 자연스럽게 홈베이킹은 티라미수를 시작이자 마지막으로 제대로 해보지도 못한 채 강제 중단이 되었다.  

 

하루아침에 빵을 못 먹게 된 빵순이는 당연히 빵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착한 빵집'들로 눈을 돌렸다. 

하지만 베이커리들에서 '밀가루가 들어가지 않은'이라고 홍보하며 파는 빵들은 대부분 계란이나 버터가 주재료였고 (ex. 쌀 카스텔라) , 또 반대로 비건 베이커리로 유명한 가게들은 '유기농' 또는 '국내산' 이긴 하지만 그래도 '밀가루'가 주재료를 주재료로 사용한 빵들을 팔고 있었다. 

 

물론 개중에 오직 '현미가루' 또는 '쌀가루' 그리고 '콩'을 주로 사용하여 '노 밀가루' & '비건' 이중 조건을 만족시키는 베이커리들이 있긴 했지만 원재료를 살펴보면 뭔가 구매를 주저하게 만드는 (ex. 인도네시아산 팜유 - 물론 국내산/유럽산이나 미국산이라고 다 좋은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인 소비자로서 뭔가 고퀄리티는 아닐 것 같다는 선입견이 강했다ㅠ) 요소들이 있었다. 대부분 콩비린내를 감추기 위해 초콜릿 맛이 나는 메뉴들을 많이 밀고 있었는데, 히스타민 레벨이 높은 음식 중에 초콜릿까지 포함이었기에 안타깝게도 내 선택지에서는 아웃될 수밖에 없어다.

 

반대로 오직 '현미가루' 만을 사용했다고 하는 스콘은... 정말로 정직한 맛으로 디저트로 즐기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건강식 그 자체라 사놓고 한동안 냉동실에 방치되기도 했다.

 

반응형